[중앙 칼럼] 공공자산의 ‘주인’은 한인 후예들
1903년 1월 13일, 한인 약 102명이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첫 집단 이민의 발을 내디딘 후 미국 곳곳에 한인사회가 형성됐다. 한 세기가 지난 지금 250만 명으로 추산되는 한인들은 플로리다부터 알래스카까지 이민의 역사를 쓰고 있다. 한인사회가 시작된 곳마다 이민 1세대는 ‘공공자산’을 남긴 공통점을 보인다. 동기는 다양했지만 목적은 하나. 이민자 역사 계승과 후세대를 위한 ‘공익’이다. 사실 공동체를 위한 헌신은 쉽지 않다. 이민선조와 1세대는 이민생활 중 겪은 고생을 다음 세대는 덜했으면 하는 마음을 공공자산으로 남겼다. 그들이 한인사회 공공자산을 마련했을 때 느낀 보람과 뿌듯함은 설립 취지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다음 세대가 이민 선배들의 정성을 잘 이어받아 공공자산을 한인사회 발전을 위해 널리 활용해 달라.” 한 세대 이상이 지난 뒤 한인사회는 공공자산을 잘 활용하고 있을까. 대한인 동지회, 1924년 11월 17일 창설된 독립운동 단체다. LA동지회 북미총회는 십시일반 성금모금 후 1947년 USC 근처 단독주택 건물(2716 Ellendale Place)을 매입했다. 2009년 4월 서류상 소유권자(동지회 건물 매입 당시 한인사회는 등기법 제한으로 시민권자 명의를 사용)인 이민선조 송철 선생의 아들 게리 송씨는 동지회 건물을 담보로 25만 달러를 빌린 뒤 갚지 못해 경매처분 위기에 몰렸다. 현재 동지회 건물은 송씨 사유물로 전락했다. 1962년 LA한인사회는 커뮤니티 공간인 한인센터를 시작으로 1975년 현 LA한인회관(981 S. Western Ave)을 약 30만 달러(한인사회 성금과 한국 정부 지원금, 현 건물 시가 1000만 달러 이상)에 매입했다. 4층짜리 건물을 한인사회 권익신장 마중물로 활용하자고 건물 관리단체 정관에 명시했다. 한인회관 건물 관리를 맡은 한미동포재단은 2015~2019년 이사회 주도권 다툼으로 검찰 조사까지 받았다. 한인사회 공금인 건물 운영 수익 40만 달러 이상은 변호사 비용 등으로 탕진했다. 1972년 대한인 동지회 건물에서 한인사회 성금으로 문을 연 무궁화 학원, 현 남가주 한국학원은 2018~2021년 시가 1000만 달러 상당의 윌셔사립초등학교 건물과 부지(4900 Wilshire Blvd. LA) 활용 방안을 놓고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기존 이사진은 부실운영 책임 대신 ‘소유권’에 집착하는 모습도 보였다. 한미동포재단과 남가주 한국학원 문제는 한인사회, 캘리포니아 검찰, 한국 정부의 개입으로 겨우 정상화를 이뤘다. 1995년 재미한국노인회는 한인사회 성금과 정부지원금(약 820만 달러)으로 현재 시가 약 3000만 달러로 알려진 아리랑 노인아파트(1715 N. Whitley Ave. LA)를 건립했다. 당시 “우리 후세들에게 유산과 교훈으로 남긴다”고 건립 목적을 분명히 했다. 현재 건물 운영관리를 맡은 아리랑 하우징 이사회(이사장 안창해, 서기 찰스 김)는 독립 비영리단체임을 내세워 이 아파트가 한인사회 공공자산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공공자산 부실 운영은 관리를 맡은 후세대의 사욕으로 시작했다. 모든 갈등의 시작이고 공금 탕진의 원인이다. 한인사회 공공자산 마련에 1만 달러도 보태지 않은 이들이 ‘이사’로 들어가 수십만 달러 공금을 좌지우지한 공통점을 보였다. 속된 말로 ‘눈먼돈’ 냄새를 먼저 맡았고 ‘한인사회 무관심’만 기도한 셈이다. 이민 1세대가 남긴 숭고한 정신적·경제적 유산 앞에 부끄러움은 누구 몫일까. 김형재 / 사회부 부장중앙 칼럼 공공자산 한인 한인사회 공공자산 한인사회 성금 한인사회 발전